<재즈맨>과 비슷한 유형의 작품은 많다. 아일랜드 더블린 빈민가 출신 소울밴드의 인생유전을 다룬 알란 파커의 <커미트먼트>(1991)부터 한국 최초 소울밴드 데블스의 음악열정을 담은 최호의 <고고70>(2008)까지, 일련의 음악영화들과 겹치는 것이다.
카렌 샤흐나자로프의 장편 데뷔작이자 그의 이름을 알린 <재즈맨>은 1920년대 당시 소비에트 연방을 무대로 활동했던 재즈밴드를 다룬다. 그런 점에서 뮤지션의 성공담을 묘사한 음악영화로서나, 밴드의 역사를 다루는 연대기로서나 언급된 영화의 공식을 그대로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영화에 등장하는 재즈밴드가 실존인물이 아니라는 점, 무엇보다 1983년 공산국가였던 소비에트 연방에서 만들어진 작품이란 사실에 비춰 <재즈맨>의 혁신성을 짐작하기란 어렵지 않다.
<재즈맨>이 묘사하는 1920년대는 냉전이 절정에 달하던 1983년 당시 소비에트 연방의 상황과 여러 모로 닮았다. 예컨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콘스탄틴이 음악에 뛰어난 재능을 보임에도 적성국인 미국의 음악 재즈를 연주한다는 이유로 학교에서 퇴학 처분을 받는 설정은 단적인 예다. (샤흐나자로프는 19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사라진 제국>(2008)에서 비틀즈와 핑크 플로이드 앨범을 손에 넣기 위해 암시장을 전전하는 소비에트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다루기도 했다!) 다만 영화는 그런 시대의 아픔을 드러내기 위해 재즈를 이용하지 않는다. 음악을 통해 시대의 공기를 담기보다는 재즈 그 자체의 공기를 담는데 주력한다. 그래서 콘스탄틴이 결성한 재즈밴드의 음악에는 현실에 저당 잡힌 뮤지션의 애환도, 불투명한 미래를 걱정하는 한숨도 없다. 무대에서 공연할 수 있는 어떤 기회라도 잡기 위해 열정을 다해 연주에 임할 뿐. 한마디로 <재즈맨>은 음악에 헌신하고 모든 것을 바치는 이들에게 보내는 완벽한 헌사인 셈이다. (개인적으로 원제보다는 ‘우리가 재즈다’로 번역하는 것이 더 어울리는 듯싶다.)
확실히 주인공들이 재즈음악과 정신적 결합을 해나가는 모습은 이 영화가 가지는 특별한 함의다. 원래 재즈는 미국에서 소외받던 흑인들이 삶의 고통을 이겨내기 위한 수단으로 만든 음악인데 카렌 샤흐나자로프는 그 태생적 배경을 1920년대 소비에트 연방에 이입함으로써 본토의 그것과는 구별되는 재즈정신을 구현한다. 이는 극중에서 냉전의 주역으로 발돋움하던 당시 소비에트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에 은밀하게 균열을 가한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영화의 결말부, 단 한 명의 청중을 상대로 공연을 펼치던 밴드가 갑자기 수십 년의 세월을 건너 뛰어 나이든 모습으로 수많은 관중들 앞에서 연주하는 장면은 샤흐나자로프가 목적한 바를 잘 보여준다. 이데올로기를 뛰어넘는 재즈의 영원성, 즉 음악의 본질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처럼 <재즈맨>은 소비에트 영화에 선입견을 가지고 있던 이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 영화에는 우리가 평소 접하던 소비에트 영화와 달리 에너지 넘치는 삶과 유머러스한 요소가 넘쳐난다. 비록 <재즈맨>이 다루는 세계는 소비에트 영화 특유의 철학적 리얼리즘과는 거리가 멀지만 거기에는 현실의 초라함을 이겨내기 위한 꿈과 판타지가 생생하게 살아있다.

러시아 모스필름 회고전
카탈로그
(2009.3.3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