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부산영화제에서 가장 인기를 모은 두 편의 일본 영화는 미이케 다카시의 <13인의 자객>(十三人の刺客)과 기타노 다케시의 <아웃레이지>(アウトレイジ)이었다. 워낙 거물급 감독의 작품인데다가 한국에도 많은 팬을 보유한 이들이기 때문에 두 편의 영화에 대한 관객 반응은 역시나 뜨거웠다. 다만 영화 상영 후 이어지는 관객의 평가는 상이했다는 점에서 이채롭다. 이는 오랜 영화 경력이 빚은 매너리즘을 돌파하는 두 감독의 방법론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결과라는 사실에 비춰 좀 더 자세히 설명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구도 에이이치가 1963년에 발표한 동명의 작품을 리메이크한 <13인의 자객>은 막부 시대를 배경으로 쇼군의 동생이자 포악한 영주를 암살하기 위해 모인 13인의 자객의 활약상을 그렸다. 그런데 쇼군에게 폭군 동생의 실상을 알린 후 할복하는 신하를 다룬 첫 장면에는 미이케 다카시의 이름을 상기해 보건데 익숙하지만 다소 생소한 측면이 존재한다. <오디션>(1999) <데드 오어 얼라이브>(2000) <이치 더 킬러>(2001) <극도공포대극장 우두>(2003) 등 화제작을 양산했던 전성기 시절의 그였다면 내장이 쏟아지는 광경을 여과 없이 보여줬겠지만 <13인의 자객>은 그렇지 않다. 인물의 일그러진 표정과 단검이 배를 가르는 소리로써 표현하며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쪽을 택했다. 대개 미이케 다카시라고 하면 끝간 줄 모르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기존의 영화 문법을 파괴하며 건설한 엽기의 미학에 있지만 지금은 파격 대신 웰메이드를 지향하는 모양새다.
실은 지난 몇 년 동안 (보다 정확히는 <이조>(2004) 이후) 미이케 다카시는 예전의 악동스러움을 잃고 평작과 졸작 사이를 오가며 위태로운 행보를 보여 왔다. <13인의 자객>은 그의 걸작은 아닐지언정 다행히 오락영화의 진수를 선보이며 미이케 다카시가 건재하다는 사실을 이끌어낸다. 140분의 상영 시간 중 1/3에 해당하는 50분을 마지막 전투씬에 할애하며 박진감과 비장미 사이에서 오락의 진수를 뽑아내고 무엇보다 현실에 대한 은유로써 극중 전쟁을 들여다보는 그의 안목은 주목할 만하다. 타인의 죽음에서 희열을 얻는 영주와 이에 잔인하게 희생되고 고통 받는 평범한 백성의 일상을 교차하며 전쟁에 미친 세태에 이게 대체 모하는 짓이냐며 일갈하는 것. (미이케 다카시는 주인공 신자에몬(야쿠쇼 코지)이 폭군의 목을 베는 장면에서 떨어져나간 목이 똥간으로 굴러가는 것으로 설정, 죽지 않은 악동의 면모를 과시한다.)
이처럼 미이케 다카시는 (<13인의 자객>으로 판단컨대) 말초적인 감각 대신 마음을 울리는 감정을, 검의 잔인함보다 펜의 부드러움이 연상되는 연출력으로 이제는 거장의 시기에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하나비>(1997) 이후 여러 장르를 전전하며 창작의 고갈에서 허덕였던 기타노 다케시는 <아웃레이지>를 통해 본인의 주특기였던 야쿠자 세계로 귀환했지만 여전히 안쓰러운 예술가의 초상에 머물러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오랜만의 야쿠자 영화인만큼 <아웃레이지> 속 야쿠자들도 세대교체의 급물살을 탄다. 그런데 이곳이 조직 세계이기는 하나 도덕과 윤리, 그리고 법률의 손아귀에서는 멀찌감치 벗어나 있다 보니 정상적인 방식으로 세대교체가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소나티네>(1993) 당시만 하더라도 극중 야쿠자들은 함께 휴가를 즐기기도 하고 동료 조직원의 복수에 목숨을 거는 등 소위 ‘야쿠자의 도(道)’라고 할 만한 것들이 존재했다. 그런데 <아웃레이지>가 묘사하는 2000년 이후의 야쿠자들에게는 의리 따위 돈 앞에서는 개만도 못한 것으로 전락하며 위아래 할 것 없이 배신이 판을 친다. 또한 상납에 안주하던 시스템에서 벗어나 이제는 직접 카지노도 운영하고 조직 내부에 변호사를 거느리는 등 낭만파 야쿠자의 세계는 자기 이익에만 눈이 먼 ‘양아치’들에게 자리를 내준 지 오래다. 이렇게 야쿠자의 도가 파산 지경에 이르다보니 <아웃레이지>의 야쿠자 개인들은 하나 같이 무식하고 잔인하게 묘사될 따름이다.
야쿠자 소재와 거리를 둔 채 십년 넘게 방황을 거듭하던 다케시를 다시금 이 세계로 불러들인 것은 급변하는 야쿠자 상(像)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올해 칸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서의 최초 공개 당시 격렬한 찬반 논란이 일었던 것 역시 이 때문이었다. ‘급변하는 야쿠자의 시대상을 담은 결과 vs 악취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잔인함‘으로 나뉜 논쟁이었는데 부산에서 영화를 본 후 개인적으로는 후자의 입장을 지지하는 쪽이다. 영화의 형식을 대변하는 잔인한 표현 방식에 불만은 없지만 문제는 그것이 뒤로 갈수록 어떻게 하면 더 잔인하게 보일까에 초점을 맞추는 까닭에 과잉으로 치닫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아웃레이지>에 대한 지지를 끝까지 망설이게 만드는 결정적인 이유다.
기타노 다케시의 폭력 묘사는 고요한 순간 찰나적으로 펼쳐지는 촌철살인의 미학이 그 정수이었다. 하얀 백사장 위로 흘러내리는 붉은 핏줄기(<소나티네>) 혹은 평온할 것만은 같은 해변의 푸른 하늘 위로 탕하고 울리는 한 발의 총성(<하나비>) 등이 기타노 다케시의 폭력 세계를 매력적인 그 무엇으로 만들어주는 요소였다. 그런데 <아웃레이지>는 제목처럼 ‘난폭하게’(outrage) 밀어붙이는 것에만 정신이 팔려 정작 과도한 묘사가 형식을 덮어버리는 경우가 되고 말았다. 올 초 한국을 방문했던 일본 문화청 문화 부장이자 영화평론가인 데라와키 켄은 최근 10년 동안의 기타노 다케시의 영화에 대해 한 치의 망설임 없이 ‘멍청하다’는 표현을 썼다. <아웃레이지>가 공개된 지금에도 그 평가는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 야심차게 준비한 기타노 다케시의 야쿠자 복귀작은 절반의 성공, 절반의 실패에 그친 것이다.

무비스트
2010.10.22
절반이라도 성공했다고 할 수 있을런지 모르겠더군요. 보고 나서 불쾌함만 남았다죠!
부산영화제 예매할 때 이 두 영화중에 뭐부터 예매에 도전할까 망설이다가 아웃레이지를 선택했는데 두고두고 후회됩니다. ㅜ.ㅜ
ㅜㅜ 아쉽네요. 13인의 자객으로 하셨으면 좋았을 텐데. 제 주변 반응도 아웃레이지에 대해서는 모두 썸 다운이었습니다. 기타노 다케시는 갈수록 안습인 것 같아요. ^^; 재기할 수 있으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