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한국영화의 새로운 기운은 주류 바깥에서 감지됩니다. 특히 2010년과 2011년은 저예산 장편 데뷔작들이 돋보였던 해라고 할 만합니다. 주류 영화계가 흥행에 성공한 장르와 소재의 재활용, 무엇보다 규모의 경제학에 함몰된 사이, 창의적인 영화문법과 사회현실에 밀착한 소재, 그리고 자신만의 제작방식으로 무장한 신진작가들의 작품이 새로운 영화 보기의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는 이런 한국영화의 최근의 경향을 반영해 ‘한국영화, 새로운 작가 전략’ 프로그램을 선보입니다. 3월 22일부터 4월 7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마녀의 관> <빗자루, 금붕어 되다> <반드시 크게 들을 것> <이웃집 좀비> <쿠바의 연인> <회오리 바람>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불청객> <레인보우> <이파네마 소년> <조금만 더 가까이> <파수꾼> <짐승의 끝> <혜화, 동> 14편의 작품이 소개됩니다. 모두 2010년과 2011년에 개봉한 작품들로, 비슷한 구석 하나 없이 그들 각자의 장르와 이야기, 그리고 서술법을 택하고 있어 흥미로움을 더합니다.
<빗자루, 금붕어 되다>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혜화, 동>처럼 우리에게 익숙한 풍경이지만 그렇기에 외면하는 현실을 정면으로 다루는가 하면, <이웃집 좀비>와 <불청객>은 각각 흥행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무시 당해온 좀비와 SF를 과감하게 차용해 근사한 결과물을 내놓기도 하였습니다. <회오리 바람>과 <이파네마 소년>, <조금만 더 가까이> 역시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청춘을 소재삼아 지금 세대의 사랑과 방황의 흔적을 스크린에 새겨 넣습니다. <반드시 크게 들을 것>과 <쿠바의 연인>의 경우, 개인의 감정과 사연을 극에 적극적으로 도입해 색다른 다큐멘터리의 재미를 선사하고 <파수꾼>과 <짐승의 끝>은 기존 작품들과는 전혀 다른 화용론과 영화문법으로 젊은 영화의 면모를 과시합니다. 그리고 <마녀의 관>과 <레인보우>는 소위 클리셰(Cliché)라고 부르는 익숙한 장면이나 기승전결의 서술을 따르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이야기의 자유로움을 획득한 경우라 할 것입니다.
그래서 이들의 작품을 한 데 모으면 2010년과 2011년의 한국영화 장편 데뷔작들이 도달한 새로운 경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들 영화에게 ‘지금부터 시작’이라는 수사를 붙여도 그리 틀리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최근의 장편 데뷔작들이 보여주는 지금의 이 시작을 꾸준한 무엇으로 지속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14편의 영화를 상영하는데 그치지 않고 작품을 연출한 감독들 모두가 함께 모이는 자리를 마련한 건 이 같은 의도에서 비롯됐습니다. ‘한국영화, 새로운 작가 전략’ 기간 중 두 차례 열리는 포럼 동안 한국영화계 기저에서 활발히 모색되고 있는 변화의 바람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과거와는 다른 한국영화의 신(新)풍경을 목격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서울아트시네마
2011.3.4
먼곳에서 가늠해보자면, 메이저 프러덕션이 대거 망하고 양대 투자자들이 본격 상업영화 전선에 뛰어들면서 그에 속할 수 없는 영화들이 모두 독립영화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게 산업구조의 변화로 이어질지 그냥 일시적 돌파구일지는 아직은 가늠이 안 됩니다. 그런 대화를 좀 하고 싶은데…영화들을 보지도 못했군요.-_-
그러게요, 영화 보실 수 있으면 좋을 텐데. ^^; 다들 정말 재미있어요. ^^ 말씀하신 부분에 동의해요. 근데 일시적인 돌파구라기보다는 계속 이런 식으로 산업이 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요즘 대기업은 시나리오도 계량화할 정도니 자기 영화 만들고 싶은 사람은 적은 돈이라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 난관을 극복해야겠죠. ^^; 아, 이런 얘기는 긴 지면으로 해야되는데 말이죠.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