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通天帝國之狄仁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랜만에 홍콩영화를 소개해주신다고요.

<황비홍>으로 유명한 서극 감독과 말이 필요 없죠, 20년 넘게 홍콩을 대표하고 있는 배우 유덕화가 출연하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이하 ‘<적인걸>’)입니다.

‘적인걸’은 무슨 의미인가요? 사람 이름인가요?
적인걸은 중국 당나라 시절에 실존했던 명판관이자 천재수사관으로 중국의 셜록홈즈라 불리며 세계적 명성을 떨친 인물이라고 하는데요. 대륙 역사상 최초의 여황제를 노리는 측천무후의 즉위식을 앞둔 어느 날, 그녀의 심복들이 차례로 불에 타 죽는 의문의 연쇄살인 사건이 발생합니다. 하늘의 분노라며 백성들의 공포가 커지고 황실은 점점 혼란에 빠집니다. 급기야 측천무후는 최후의 수단으로, 누명을 쓴 채 변방으로 좌천당한 적인걸을 불러들이고요, 타죽은 시체에서 남은 한줌의 재를 가지고 사건을 수사하기 시작합니다.

주인공 적인걸도 그렇고, 측천무후도, 그러니까 실존인물이 등장하는 영화네요?
등장인물로만 보자면 그렇습니다. 줄거리만 봐도 실제 일어났을 법한 사건은 아니고요. 극중 액션 장면을 보면 공중으로 날아다니고 그러거든요. (웃음) 무엇보다 서극이 묘사하는 적인걸은 실제 모습과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극중 적인걸은 유덕화가 연기하는 까닭에 굉장히 외모가 출중한 인물로 묘사가 되는데 실제로는 뚱뚱한데다가 그리 잘 생긴 편은 아니라고 하니까요. 오락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역사의 일부를 가져와 그 나머지를 상상력으로 다시 창조한 일종의 팩션이라고 보면 됩니다.

어떤 점에서 <적인걸>은 오락성이 뛰어난가요?
요즘은 한 장르가 아닌, 여러 장르를 섞는 것이 유행인데요. <적인걸> 역시 그렇습니다. 일단은 역사물이지만 말씀 드린 대로 경공술이 등장하는 무협이기도 하고요. 적인걸의 추리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탐정물이기도 하죠. 무엇보다 관객을 사로잡는 것은 중국영화 특유의 거대한 스케일로 구현되는 CG입니다. 황제의 즉위식이 벌어지는 궁궐 주변에 63빌딩을 능가하는 거대한 불상이 마치 영화의 중심축처럼 떡하니 박혀 눈을 현혹하고요. 불에 타 죽는 모습도 CG로 처리되며 볼거리에 굉장히 신경 쓴 모습이 역력합니다.

감독이 서극이라고 하셨죠. 원래부터 이런 종류의 영화를 만들어왔던 감독인가요?
서극은 ‘아시아의 스필버그’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로 볼거리에 신경을 많은 쓰는 감독인데요. <황비홍> <동방불패> 같은 경우, 볼거리로써의 무협 연출에 능했죠. <순류역류> 같은 경우, 앞선 영화와 달리 현대물인데 좁은 홍콩 거리에서 펼쳐지는 액션 장면에 굉장한 장기를 보였고요. <적인걸>에서는 앞서 말씀드린 대로 장르의 혼합 및 CG를 통해서 또 다른 오락영화의 경지에 도전합니다.

근데 너무 볼거리만 신경 쓰면 이야기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요?
잘 지적해주셨는데요. 사실 서극의 영화는 종종 볼거리를 강조하는 까닭에 이야기가 다소 헐거워지는 경우가 있어요. <적인걸>도 마찬가지인데요. 사실 탐정이라고 하면 사소한 단서를 통해 추리하는 맛이 있어야 하는데요. <적인걸>은 머리를 쓰는 탐정이라기보다는 추리하는 과정에서 뭔가 사건이 터져 그를 쫓아가는 형식으로 진행이 되요. 누군가가 방해한다든가, 액션이 펼쳐진다든가 하는 식으로 말이죠. 더군다나 극중 드러난 사건의 실체를 교란시키기 위해 음모론을 난발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역시 이야기를 산만하게 만드는 편이고요.

볼거리가 <적인걸>의 강점이라는 얘기처럼 들리네요.
근데 제 개인적으로 이 영화의 최고 볼거리는 유덕화이었습니다. 우스갯소리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유덕화가 올해 한국 나이로 치면 1961년생이니까, 올해로 쉰이거든요. 50세요. 근데 오히려 유덕화를 CG로 처리한 것이 아닐까 할 정도로 얼굴 피부가 너무 좋아요. 그 비결이 무엇인지 묻고 싶을 정도에요. (웃음)

유덕화 외에 우리에게 익숙한 배우가 <적인걸>에 등장하나요?
한국에서는 프랑스영화 <연인>에 출연했던 배우로 유명하죠. 당시 소녀 역으로 출연했던 제인 마치와의 18금 사랑으로 화제를 모았던 양가휘가 극중 적인걸의 오래된 동료로 등장해 오랜만에 한국 팬들과 만나고요. 양조위의 연인, 아니 이제는 결혼을 했으니까 부인이죠. <아비정전> <2046> <무간도 2,3>에도 출연했던 유가령이 측천무후로 출연하고 있습니다. 출연하지는 않지만요, 홍금보가 무술감독을 맡아 참여하고 있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간단하게 총평을 해주신다면요?
제가 워낙 추리소설을 좋아해서 그런 쪽으로 기대를 해서였는지 다소 실망한 편이었습니다. 전 오히려 극중 측천무후가 벌이는 일들이 정당하지 않은 것들이 있는데 국가의 대운을 위해서 정당성을 부여하는 측면이 있거든요. 저는 그걸 옹호하는 게 아니라 최근의 일부 중화권 영화들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어서 그것이 흥미로웠고요. 다만 <적인걸>은 이야기에 크게 신경 쓰지 않고 볼거리 위주로 본다면 크게 실망스럽지는 않을 거예요. 현란한 CG와 무엇보다 오랜만에 무협액션을 볼 수 있다는 것도 이 영화의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세상을 여는 아침 최현정입니다사용자 삽입 이미지
MBC FM4U(6:00~7:00)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