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영화는 집안 어른들의 강요에 못 이겨 머리에 피도 안 마른 16살의 핏뎅이 女高생 보은(문근영 분)이 24의 男大생 상민(김래원 분)과 결혼하여 행복하게 산다는, 굉장히 자극적인 설정의 로맨틱 코미디다.
열여섯 여고생의 본의 아닌 결혼. 여타의 로맨틱 코미디와는 차별화를 긋는 나름대로 꽤 참신한 설정이긴 한데 본 특위가 검열해 본 결과, 당 영화는 이를 통해 이야기로 승부하기보다는 두 배우의 이미지만을 베껴먹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마디로 17세 미만의 중고딩들에게나 약빨이 먹힐 듯한 당 영화는 오로지 문근영의 깨물어주고 싶고, 앙증맞고, 오동통한 내 너구리같은 귀여움을 기대하고 잇는 남성관객에게 은근한 성적 판타지를, 그리고 여성관객에게는 백마 탄 왕자와 같은 김래원의 이미지에 투영한 영화같은 사랑에 대한 환상을 보여주는데 상당부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래서 당 영화는 보은의 입장에서 굉장히 불합리한 결혼임에도 불구하고 고민내지 저항 같은 건 이미 저 하늘높이 나빌레라~ 남의 집 이야기로 날려 버리고 단순히 보은과 상민의 결혼생활에서 벌어지는 아기자기하게 우끼고 자빠라지는 소동에 집중하고 있음이다.
그리고 당 영화는 남성관객을 위해 어린 신부라는 설정에 착안, 섹스와 관련된 성적 농담 따먹기 수준의 말장난을 주로 구사하고 있다. 더 우낀 건, 이런 가운데서 당 영화는 나름대로 결혼 후 보은이 절라게 고민하는 모습을 낑구는데 그것이 강요된 결혼에 대한 자아찾기류의 고민이 아니라 멋진 두 남자 사이에서의 갈등인 걸 보면 감독이 위의 성적 혐의를 교묘히 벗어나려 얍삽하게 삽입한 설정임을 대충 눈치 깔 수가 있다.
물론 대관객서비스에만 절라 치중하고 있는 당 영화가 영화계의 주소비층인 여성을 위한 배려를 잊을리 없다. 이를 위해 당 영화는 운명적이고 영화같은 사랑의 결실을 보여줄 요량으로 이 장르에 익숙한 공식을 대거 끌어들인다.
그래서 <어린신부>에는 TV 주말연속극을 보는 듯한 좁은 세계 안에서의 우연이 빗발치고, 청소년용 할리퀸 소설에나 등장할 법한 “쟤네, 공주병 걸린 애들이야, 넌 진짜 공주고..”와 같은 민망체감지수 무한대의 대사가 진을 치고 있으며 결정적으로 마지막 장면. 뭔가 거하게 끝내고 싶은 마음과 안일한 해피엔딩이 결합하여 거의 전위수준의 이벤트를 만들어낸다. 거 있잖아, 서로 갈등 때리던 연인이 막판 무대같은 대형공간에서 극적으로 서로 화해하니까 주변에 있던 관중들이 개떼같이 우루루 일어나서 일동 박수 치는 거…
이렇게 배우는 있되 인물과 이야기는 실종된 당 영화에서 그나마 볼만한 부분은 문근영과 김래원 뿐이다. 모, 이 두 배우 보는 것만으로 입장료가 아깝지 아니하다고 생각하시는 독자라거나 청소년 독자라면 본 특위 굳이 나서서 말리고 싶지 않지만 그게 아니라면 웬만하면 극장에서 보지말고 비디오로도 신중히 결정한 다음에 대여료가 한 500원쯤 내려가면 보덩가 말덩가 하시기를 권한다.
<딴지일보>
전 유치한 영화 좋아하거든요. 남들이 이게 저한테 딱이랍니다. 그래서 비디오로 보려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