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터> 위르실라 메이에

사용자 삽입 이미지
13회 전주국제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선정된 <시스터>는 훔친 스키 장비를 팔아 삶을 이어가는 남매의 이야기다. 척박한 현실이 이야기의 기초를 이루지만 위르실라 메이에 감독은 “북구의 전설처럼 동화적으로 영화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었다”며 의외의 답변을 내놓았다.

<시스터>는 어떻게 구상하게 됐나?
낮은 지역의 공장에서 뿜어져 나온 연기가 위로 올라가며 스키리조트를 뒤덮고 있는 구름과 결합하는 광경을 보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사회의 전형적인 이미지 중에 하나라고 생각했다. 그런 대조적인 환경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었다.

그럼 공간을 먼저 설정한 후 극 중 남매의 이야기를 생각한 건가?
그곳이 아니면 전혀 일어날 것 같지 않은 사연이 바탕이 됐지만 이야기도 동시에 구상했다. 나 역시 극 중 시몬처럼 스위스 국경 지역에 위치한 동네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 시절의 한 소년이 생각났다. 당시 스키강사가 말하길, 저 아이는 도둑이니 물건을 조심하라고 했다. 그것이 지금 이 영화의 시나리오의 바탕이 됐다.

대조적인 환경을 묘사하기 위해 촬영감독 아녜스 고다르와는 어떤 콘셉트를 정했나?
너무 극단적이거나 드라마틱하게 비교하지 않으려고 했다. 스키리조트의 경우, 그림엽서 같은 배경은 자제했고 남매가 사는 아랫동네는 너무 불행하게만 묘사하지 않으려고 했다. 그래서 동화 같은 이미지의 블루 톤을 전체적으로 깔았다.

시몬 역의 케이시 모텟 클라인과는 <홈>(2008)에 이어 <시스터>에서도 다시 한 번 같이 한다. 
케이시 모텟 클라인은 <홈>에서 연기자로 데뷔했다. 어떤 의미에서는 내가 연기라는 것을 알려준 셈인데, 그 친구 역시도 <홈>을 통해 배우에 대한 개념을 형성했다. 나이답지 않은 연기를 하는 것은 물론이고 개인적으로는 계속해서 영화와 연기를 가르치고 싶어 <시스터>에 캐스팅하게 됐다. 앞으로도 계속 함께 할 생각이다.

시몬에게 훔친 스키를 공급받는 청년 역의 마틴 콤스톤 캐스팅이 흥미로웠다. 그는 켄 로치의 <스위트 식스틴>(2001)에서 시몬과 처한 환경이 비슷한 역할을 연기했다. 혹시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캐스팅한 건가?
그렇지는 않다. 시나리오 단계에서 배우들을 머릿속에 생각하고 마틴 콤스톤을 캐스팅한 순간, 그가 <스위트 식스틴>에서 시몬과 비슷한 역할을 했다는 걸 깨닫게 됐다. 실제로 아랫동네에 사는 사람들은 스키장이 가까워도 돈이 없어 평생을 못 가는 경우가 많다. 스키장에 오는 사람들은 전 세계의 돈 많은 사람들인데 <시스터>의 다국적 캐스팅은 그런 현실을 반영한 거다.

<시스터>는 흔히 스위스에 대해 자연 풍광이 빼어나고 잘 사는 나라라는 일반의 생각을 완전히 비껴간다. 
스위스는 사회보장 제도가 잘 되어 있다. 사실 영화 속 남매도 원하기만 하면 사회보장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더 나은 생활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전혀 요구하지 않는다. 대신 현실에 대한 분노를 그런 식으로 표출한다. 이와 같은 설정을 통해 스위스 현실의 이면을 보여주고 싶었다.

영화 속에 이들 남매를 보호해주는 어른의 존재가 부재한 건 그런 이유 때문인가?
<시스터>는 굉장히 현실적인 배경을 담고 있지만 어떤 면에서는 허구의 이야기를 다루기 때문에 동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가 동화처럼 보이기를 원해 어른의 존재는 최대한 배제했다.

사진 권혁세

사용자 삽입 이미지

13회 전주국제영화제 데일리
NO.5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