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정민은 남자배우 중 (송강호를 제외하고) 가장 뛰어난 시나리오 감식안의 소유자로 꼽힌다. 흥행의 편차는 있을지언정 작품 완성도 면에서 직선이라 해도 좋을 만큼 고르다. 특히 감독의 이름값 대신 시나리오의 만족도를 우선하는 배우로 유명하다. 한 편 이상 함께한 감독이 (아직도!) 없고 대신 매 작품 캐릭터의 변화를 장수 비결로 삼는다. <달콤한 인생>의 냉혈한에서 <너는 내 운명>의 순애보 농촌총각까지, <슈퍼맨이었던 사나이>의 현실 도피자에서 <그림자 살인>의 조선 명탐정까지, 캐릭터가 살아 숨 쉬는 시나리오는 그에겐 일종의 신용장인 셈이다. 이번에 개봉하는 류승완 감독의 <부당거래>에서는 좀체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 광역수사대 반장을 연기했다. 역시나 감독이 아니라 캐릭터가 영화로 이끌었다고 밝히는 그다.
반면 전도연은 감독을 더 신용하는 쪽이다. 임상수 감독으로부터 <하녀>의 시나리오를 건네받은 그녀는 극중 은이의 심리가 이해되지 않자 굳이 따져 묻지 않았다. 오히려 임상수 감독의 연출력을 믿고 따르는 쪽을 택했다. 그녀에게 이는 도박이 아니었다. 십년 넘은 배우 생활동안 터득한 자신만의 노하우였다. 전도연은 감독을 철저히 신용하며 스타덤에 오른 경우다. 그 유명한 <해피엔드>의 베드신 공개 후 많은 이들이 과감한 연기가 두렵지 않았냐고 묻고 또 물었다. 하지만 그녀의 대답은 한결같았다. “정지우 감독님을 믿었을 뿐이에요.” <피도 눈물도 없이>의 액션 연기나 <밀양>의 아이 잃은 엄마처럼 전도연의 필모그래프에서 유독 여자배우로서 감당하기 힘든, 그래서 관객의 뇌리에 깊이 각인된 역할이 많은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
사실 시나리오를 잘 고르는 배우 분야에서 가장 먼저 명성을 얻었던 이는 한석규이었다. 스크린 데뷔작 <닥터 봉>에서 <쉬리>에 이르기까지 속칭 ‘되는 영화’만 고르던 그는 <이중간첩> 이후로 과거의 영광이 무색할 만치 시나리오를 못 고르는 배우로 전락했다. 한석규에게는 작품 선택의 확고한 원칙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신인감독의 작품에 집착증에 가까운 선호도를 보인다. 바로 여기에 한석규의 성공과 실패의 이유가 담겨있다. 사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장윤현(<접속>), 이창동(<초록물고기>), 송능한(<넘버3>), 강제규(<쉬리>) 등 새로운 감성의 신인감독들이 충무로를 이끌던 시기였다. 이 같은 분위기를 타고 한석규는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 대형 제작사의 등장과 기획영화의 범람 속에서 한석규는 몰락을 재촉했다. 신인감독들이 기능공의 역할을 맡으며 제 개성을 발휘하지 못함에도 자신만의 원칙을 고수하며 시대의 변화를 제때 감지 못한 까닭이다.
<이층의 악당>에 관심이 쏠리는 건 그런 이유에서다. 감독 손재곤은 <달콤, 살벌한 연인>으로 이미 흥행력을 검증받았으며 무엇보다 신인의 때를 벗은 지 오래다. 더군다나 한석규가 연기한 소설가 사칭의 정체불명 사나이는 그의 필모그래프에서 절대수를 차지하던 형사 계열의 캐릭터와는 거리가 먼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니까 <이층의 악당>은 배우 인생 최초의 새로운 도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기회를 잘 살린다면 한석규는 다시 한 번 시나리오 잘 고르는 배우의 명성을 획득할지도 모르겠다.

GQ KOREA
2010년 11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