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원>(The Wish)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영화가 아동 성폭행을 소재로 삼은 감동드라마라고 했을 때 의심이 들었던 게 사실이다. 당사자들에게 다시는 기억하고 싶지 않은 비극을 굳이 영화라는 거대 매체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분노와 눈물이라는 감정을 자극적으로 소비하는 것은 아닐지 걱정이 됐기 때문이다.

안 그래도 극 중에는 성폭행 당한 아이의 처참한 모습을 언론사들이 카메라에 담으려 할 때 제발 가만히 놔둬달라며 부모들이 절규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처럼 문제의 사건을 소재로 하는 것이 과연 적절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확신할 수 없지만 일단 공개된 작품을 보니 그와 같은 의심의 시선은 상당 부분 거두어도 괜찮을 듯싶다.

동일 소재의 영화들이 범죄자를 향한 증오와 복수의 시선만으로 접근했다면 <소원>의 이준익 감독은 좀 더 다른 입장을 취한다. 어떻게 하면 상처받은 이 아이와 가족들이 우리 이웃과 사회에 다시금 녹아들 수 있는지 우선적으로 그 치유의 과정에 집중한다. 그런 후에야 천인공노할 범죄를 저지른 가해자에게 합당한 벌을 받지 못하는 판결 장면을 넣는다. 그럼으로써 약자를 보호하지 못하는 이 사회의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잘못되어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이 작품의 제목이 ‘소원’인 이유, 그것은 단순히 극 중 아이의 이름일 뿐 아니라 이와 같은 부조리를 바로 잡을 수 있고 근본적으로는 없앨 수 있는 더 나은 세상을 향한 영화의, 감독의 소망을 반영한다. 진심이라고 느껴지는 건 학급 친구가 사건 당일 소원이와 함께 학교에 등교했다면 자신이 폭행을 막을 수도 있지 않았겠느냐며 닭똥 같은 눈물을 흘릴 때다. 아이를 경유한 감독의 어른으로서의 죄책감이 진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맥스무비
(2013.10.1)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