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인>(Lawyer Song)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잘 알려진 대로 <변호인>의 ‘송변’ 송우석은 노무현 전(前)대통령의 1980년대 변호사 시절을 모델로 했다. 그럼 이 영화는 고(故)노무현의 과거를 추억하는 작품인가? 아니다. <변호인>은 더 큰 틀에서 현재에 대한 이야기를 펼친다. 가령, 송우석의 이름이 송강호의 ‘송’과 감독 양우석의 ‘우석’을 합친 이름인 것처럼 특정 인물이라기보다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우리’를 대표한다.

이 사회는 현재 보수와 진보가, 기성세대와 청춘이 양분되어 서로 반목하는 형국이지만 더 많은 이들이 그와 상관없이 중도(?)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이념과 정치에 휩쓸리기보다 어떻게 하면 더 잘 살 수 있을지, 부의 가치를 좇는 데 여념이 없다. 그런 중간자의 삶을 대표하는 것이 바로 <변호인>의 송우석이다.

그는 고졸 출신의 입지전적인 변호사이지만 등기를 전문으로 하며 1980년대 불어 닥친 부동산 붐에 편승, 남부럽지 않은 삶을 영위하게 된다. 자각의 순간이 찾아오는 건 잘 아는 학생이 무고하게 빨갱이 혐의를 받아 인권이 유린되는 현장을 직접 목격하면서다. ‘상식’이라고 믿었던 세계가 무너지자 이를 수호하기 위해 ‘인권’ 변호사가 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건 꼭 1980년대의 상황에 대한 묘사가 아니다. 불온서적(이라고 정부가 임의로 지정한 책)을 읽었다고 빨갱이로 몰리고 그런 이들을 변호했다고 종북주의자로 매도되는 극 중 묘사는 2013년의 한국의 현실과 하나도 다를 것이 없다. 영화는 무너진 상식을 직접 경험하며 부에서 상식으로의 가치로 전향(?)하는 송우석의 변화를 통해 거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역사란 무엇인가?’ 혹은 ‘역사는 돌고 도는 것인가?’

<변호인>이 혹시라도 개봉 후 ‘빨갱이 영화’라고 마녀사냥식의 비난이 이어진다면 우리 사회는 여전히 과거의 망령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얘기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호인>은 마지막 장면을 통해 상식을 뒤에서 굳건히 지키는 많은 이들이 있다는 사실을 희망의 찬가처럼 제시한다. 그리고 우리 사회의 변화를 바란다면 함께 행동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맥스무비
(2013.12.16)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