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테러 라이브>(The Terror Liv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더 테러 라이브>는 도심 테러를 TV 생방송으로 중계한다는 설정이 독특하게 다가온다. 김병우 감독의 데뷔작이기도 한 이 영화는 35억의 제작비 치고는 심정적으로 느껴지는 스케일이 꽤 크다. 마포대교 폭발 장면의 예에서 보듯 재난영화의 흐름을 따르면서 이를 라이브로 중계한다는 극 중 설정은 페이크 다큐멘터리를 연상시킨다. 이와 같은 다양한 면모를 좁은 스튜디오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윤영화(하정우) 앵커 홀로 끌고 간다는 점에서는 연극적인 성격도 짙다.

<설국열차>라는 초(超)기대작과 정면승부를 벌이는 <더 테러 라이브>는 올 여름 꽤 전복적인 영화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하정우라는 배우를 제외하면 크게 내세울 것 없어 보이는 <더 테러 라이브>가 이 정도의 만듦새를 보여줄지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바다. 좀 과장해서 말한다면,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의 미국 영화계를 이끌었던 ‘아메리칸 뉴 시네마’가 안겼던 충격에 버금갈 만하다. 다양한 장르적 성격을 담보한 높은 완성도도 물론이지만 <더 테러 라이브>가 내세우는 메시지는 감정에 호소하는 영화가 넘쳐나는 작금에 전위적인 데가 있기 때문이다.  

(스포일러 주의!) 홍보 단계에서 ‘테러범’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이 영화에서 윤영화를 협박하고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는 인물은 우리 사회의 약자에 속한다. <더 테러 라이브>는 억울한 사연을 가진 약자들의 요구가 기득권층에게 어떻게 묵살당하고 범죄 행위로 변질되는지를 이야기의 핵심 삼아 사회 비판 드라마로까지 나아간다. 그래서 이 영화의 결말에는 1%를 향한 99%의 진짜 속마음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스포일러이기 때문에 밝힐 수는 없지만 선악의 개념이 완전히 붕괴되는 마지막 장면의 충격은 말로 형언할 수가 없을 정도인 것이다.    

맥스무비
(2013.8.1)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