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떻게 <새>를 혐오하게 됐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를 싫어한다. 비둘기가 떼로 모인 광경만 봐도 아주 질색을 한다. 이런 ‘개새’를 봤나, 나도 모르게 입에서 욕지거리가 새어나올 정도다. 새한테 심하게 쪼인 적이 있냐고? 그건 아니고. 초등학생 시절로 기억하는데 히치콕의 <새>(1963)를 보고는 얼마나 두려움에 떨었든지 지금까지도 새에 대한 트라우마가 남아있는 것이다. 

<새>는 신문사 사주의 아리따운 딸 멜라니(티피 헤드런)가 젊은 변호사 미치(로드 테일러)에 혹해 그의 고향에 놀러갔다가 새떼의 공격을 받고 만신창이가 된다는 내용이다. 지금이야 이 영화의 내용에 대해서 잘 알고 있지만 처음 볼 당시만 해도 이야기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새가 사람을 공격한다는 그 자체만 충격적으로 다가왔을 뿐이다.

새장 속에서 조신하게 살아가는 녀석들인 줄 알았건만, 받들어 총 자세로 부리를 세워 사람을 공격하고 디저트로 눈알까지 쪼아 먹다니. 그것도 모자라 까마귀가 한 마리, 두 마리, 급기야 좌초된 유조선에서 새어나온 기름띠처럼 시커멓게 하늘을 뒤덮는 지경에 이르면, 속수무책일 인간들의 최후가 두려워 어느 새 나는 눈을 꼭 감고야 만다. 그런데 이 망할 놈의 히치콕 영감은 배경음악을 완전히 배제하고 까악~ 까악~ 새소리로 눈이 아닌 귀를 쪼아대니, 나는 공산당이, 아니 히치콕의 <새>가 싫어요~

익숙했던 것이 갑자기 이상한 행동을 보일 때 찾아오는 공포. 그렇게 히치콕은 영화 속 새들이 사람을 공격하는 이유를 명확히 밝히지 않음으로써 공포를 극대화한다. 더 이상 새가 새로 보이지 않을 때 할 수 있는 건 새를 피하는 것뿐. <새>를 보고나서부터 나는 새가 싫어졌고 내가 마치 새장에 갇힌 것처럼 새만 보면 행동반경이 좁아졌다.

그러고 보면, <새>는 극성스런 사랑으로 서로를 ‘소유’하려들다가 상처받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멜라니의 미치를 향한 공격적인 사랑이 미치의 어머니와 미치의 옛 연인의 신경을 긁는 것처럼 새를 소유하는 행위는 새의 관점에서 보면 그들에 대한 폭력인 것이다. 그러니까 영화 <새>는 새를 새장 속에 가둬두지 말고 자유를 주라는 히치콕의 메시지인가.

근데 이 놈의 비둘기들은 왜 이 지경인가. 길거리에 널브러진 음식 부스러기들을 얼마나 먹어댔으면 뒤뚱뒤뚱 날지도 못하느냔 말이다. 히치콕이 살아있었다면 새 같지도 않은 그런 비둘기들을 응징하는 <새2>를 만들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부제를 단다면 ‘인간의 역습’ 정도. 아무튼 히치콕의 <새>는 내게 가장 무서운 영화로 남아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vieweek
NO. 533

2 thoughts on “나는 어떻게 <새>를 혐오하게 됐나”

  1. 영향력 있는 영화 꼽으면 상위권에 오르지 않을까요. 전세계 많은 사람들에게 새공포증을 심어준 영화로 ㅠ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