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 적의 역습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계의 황소개구리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이 극장가의 절반을 넘어서는 스크린을 먹어치운 지도 어언 한 달 여. 새로운 패자의 출현에 목마른 관객 제위의 소리 없는 아우성이 극장가 여기저기를 찌르고 있는 바, 8월 극장가의 맹주를 자처하며 여기 <퍼블릭 에너미>와 함께 <지.아이.조-전쟁의 서막>(이하 <지.아이.조>) <나는 비와 함께 간다>가 왔다.


공공의 적? 아니 <퍼블릭 에너미>

Public Enemies. 한국말로 번역하면 ‘공공의 적(들)’ 근데 왜 <퍼블릭 에너미>(8/13 개봉)냐고? 아메리카무비니까. 당 영화는 아메리칸갱스터히스토리계의 파이오니아로 통하는 은행 강도 존 딜린저의 초특급버라이어티선혈낭자범죄로드쇼를 다뤘다.

1930년대 당시 아메리카 동부 폴리스들이 존 딜린저를 대하는 마음가짐 속엔 이런 글이 쓰여 있었더랬다. ‘No More Ahead’ 더 이상의 범죄는 없다! 그러나 존 딜린저는 더 큰 범죄의 세상을 발견할 것이라고 손수 나무를 깎아 만든 총으로 ’No‘의 무장을 해제하며 이렇게 답했더랬다. ’More Ahead’ 나에게 범죄 아니면 죽음을 달라! 그리하여 해군에 입대하자마자 탈영해 슈퍼마켓을 털고, 젊은 나이에 교도소에 수감됐다가 손이 근질근질한 나머지 박차고 나와 은행 수십 군데를 또 털고, 쫓아오는 폴리스에게 냅다 총알을 갈기다가 끝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기까지, 존 딜린저는 일개 나쁜 놈들이 꿈꿔보지 못한 범죄의 미답의 경지를 밟으며 역사에 길이길이 기억됐다.

그래서 당 영화의 마이클 만 감독은 존 딜린저의 행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이딴 무비를 만든 것이냐? 당근 아니고. 존 딜린저라는 퍼블릭 에너미를 통해 시대상을 탐구하고 어제의 히스토리를 거울삼아 오늘의 교훈으로도 만들자, 모 이런 의도 아니겠나. 세상이 좀 하수상해야 말이지.

물론 이런 종류의 심오한 의미가 아니더라도 당 영화는 조니 뎁과 크리스천 베일의 쭉하고 딴한 보디는 물론이요, 이들의 꽃스런 세숫대야를 뜯어먹는 재미가 쏠쏠하다. 한마디로 <퍼블릭 에너미>는 예술성과 오락성을 일타에 이피함으로써 임도 보고 뽕도 딴 작품이란 얘기다.        


이제는 할리우드 배우 이병헌

물 건너 바다 건너 할리우드로 간 ‘병헌Lee’ 또한 <지.아이.조>(8/6) <나는 비와 함께 간다>(8/20)로 두 마리 토끼몰이에 나선다. <지.아이.조>에서는 세계를 위협하는 테러리스트 군단의 넘버3 스톰 쉐도우로, <나는 비와 함께 간다>에서는 홍콩 뒷골목의 큰 형님 수동포 역을 맡아 나쁜 놈 2인2색을 펼친다. 우리의 병헌Lee가 할리우드의 그렇고 그런 동양 캐릭터로 쥐도 새도 모르게 산화할 것인지, 신천지를 개척하고 금의환향할 것인지 귀두가 주목되는 바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OOK
2009년 8월호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